728x90
SMALL

한농화성 3분기 실적

 

나온지는 오래 됐지만 그래도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할 종목으로 보여서 3분기 실적을 복기하는 셈치고 올린다.

 

3분기 매출액은 668억원, 영업이익 60억원, 당기순이익 48억원이었다. 매출액은 40% 정도 늘어났고, 영업이익은 180% 가량 상승하였다. 영업이익 올해 누계액은 16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64억원 많은 금액이다.

 

이렇게 실적은 좋은데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다. 재고자산이 많이 늘어나서 그렇게 되었다. 현금성자산도 그렇게 많지 않은 게 약간 유증, 전환사채의 위험성이 있기는 하다.

한편, 매출액의 내역을 살펴보면, 충남 대산 지역의 계면활성제 매출액이 가장 많이 늘어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인지 대부분의 영역에서 생산금액이 늘어났다. 

 

오히려 일부 제품은 생산 수량이 줄었는데도 금액이 늘어났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단기간의 실적 개선일수도 있겠다 싶다.

 

한편, 이 회사의 주요 테마인 전고체 배터리 관련 소식은 별로 없다. 도요타도 전고체 배터리 공장보다는 리튬 이온 전지 공장을 짓는다고 하여 일단 시간이 걸릴 듯하다.

 

증시가 꽤 하락할 때 줍줍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728x90

설정

트랙백

댓글

728x90
SMALL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두드러지는 종목 중의 하나가 시그네틱스라고 생각한다. 이 회사는 반도체 어셈블리, 테스트 관련 업체로 패키지 시장에서 요구하는 플립칩, BGA, FBGA, MCM 패키징 기술 등을 갖고 있다고 한다.

 

주요 제품은 라미네이트 패키지, 플립칩 패키지, 리드프레임 패키지 등이 있다. 핑거프린터 센서 패키지 기술을 개발하여 매출액을 늘리고도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LAB(Laser Assisted Bondsystem) 기술을 개발 및 투자하고 있다고 한다. 삼성전자가 비메모리, 파운드리에 투자한다고 했을 때 수혜주로 분류되기도 했다.

 

시그네틱스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이 700억원, 영업이익 42억원, 당기순이익이 33억원이었다.

누계 실적은 3분기까지 매출액 1919억원, 영업이익 138억원, 당기순이익 111억원이었다.

 

4분기에도 그런대로 비슷하게 나오면 PER로 따졌을 때 거의 10배 정도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전환사채나 이런 게 있는 지를 찾아봤는데 없는 거 같다. 근데 회사 재무의 상태가 아주 좋지는 않은 듯하다. 현금흐름이 올해는 플러스이기는 한데, 규모가 작고 현금성자산 보유도 그렇게 많지는 않은 상태다.

 

물론 하나마이크론이라는 확실한 종목이 있기는 하지만 대안이 될 수도 있겠다.

728x90

설정

트랙백

댓글

728x90
SMALL

늦었지만 절삭공구 기업인 와이지-원이 3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시장의 반응은 그닥이었다.

 

와이지원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178억원, 영업이익 139억원, 당기순이익 52억원이었다. 영업이익이 333억원으로 크게 턴어라운드하기는 했는데 전반적으로 시장이 불안하고 긴축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면서 업황 자체가 확장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금 사라진 듯하다.

 

회사의 수출 지표도 검색해볼 수 있고 일본공작기계 수주액, 세계 각국의 제조업 PMI를 통해 실적을 어느 정도 대강 예상할 수 있는 점이 좋은 점이기는 하다.

 

한편, 리서치알음이라는 곳에서는 올해 매출액을 4800억원, 영업이익을 524억원으로 추정했다. 4분기에 영업이익이 190억원 정도 나온다는 것인데 그게 정말로 가능할 지는 모르겠지만 지켜봐야 할 거 같다.

728x90

설정

트랙백

댓글

728x90
SMALL

삼성전자 QD-OLED 관련 종목이 사실 뭐 그렇게 많지는 않다. 대놓고 관련 종목인 경우도 있기는한데, 틈새 종목이 와이엠씨라고 생각한다.

 

와이엠씨는 예전에 2016년에 삼성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시설 이설 관련 수주를 하면서 2017년에 단기간에 실적이 엄청나게 좋아져서 그 기대로 주가 급등을 보여줬던 종목이다.

 

그 때 들어가서 나쁘지 않은 결과를 만들어 내기는 했는데 그렇게 많이 사지는 않았어서...

 

아무튼, 최근 반도체 부품 관련 종목이 주목받고 있는 것도 이 회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와이엠씨의 실적은 올해 3분기까지 매출액 1253억원, 영업이익 76억원, 당기순이익 70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회사의 매출액은 사실 2017년부터 디스플레이 설비 이설 관련 매출액 때문이다. 매출액에서 기타 및 용역 부문이 2019년에는 886억원, 2020년 매출액은 500억원, 2021년은 532억원이다.

 

기타 및 용역은 사실상 100%가 디스플레이 장비 이설 관련 매출액이고, 이게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 정도 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런 수주가 영원히 있을 수는 없고 최근에는 영업이익률도 떨어진 상황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이설 해체 관련 매출액이 내년 2분기면 끝나게 된다. 물론, LCD 제조설비 해체 이후에 다시 이설 관련 매출액이 생길 수도 있어서 그 부분은 기대할 수 있기는 한데, 100% 확신할 수는 없는 것이다.

한편, 위쪽에 올려놨던 회사의 다른 부문의 매출액을 살펴보면 상품(반도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부품은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와이엠씨의 연결 자회사인 와이컴이 반도체 부품 관련 사업(SiC링이 주력)을 하고 있는데 작년과 비교했을 때 당기순이익이 8배 정도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직까지 그렇게 티가 나지는 않는데 반도체 부품 관련 기대감이 반영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물론 그게 그렇게 빠르게 가지는 않을 거 같다는 게 문제긴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비 이설로 인해 중국 지역에서의 거래처 확보 및 매출액 확대를 노려볼 수 있고, 추가적인 이설이나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LG디스플레이 LCD 이설, 해체 관련 수주가 있을 시에도 기대감은 있을 수 있겠다.

 

하지만, 매출액의 40% 가까운 비중인 이설 매출액이 없었을 때 회사가 어떤 모습일지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기에...

728x90

설정

트랙백

댓글

728x90
SMALL

한때 어떤 증권사에서 제2의 메디톡스라고도 불렸던 리메드. 하지만 2~3만원 정도로 주가 변동폭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리메드가 11월 26일에 미국 FDA로부터 우울증 치료목적용 경구개 자기자극기기 ALTMS의 허가를 획득해서 기대를 받고 있다.

 

올해 5월에는 만성통증 치료용 NMS 장비 Talent-Pro를 포함하여 올해에만 두 번째 FDA 품목허가를 확보하였다. 통증완화나 에스테틱(짐머 등에 납품)에서 경구개 자극기기 관련 기대감이 생긴 상황. 회사의 매출액이 거의 대부분 신경자극, 통증완화, 에스테틱 사업에서 나왔는데

 

이번에 미국 FDA 허가로 미국 우울증 시장을 공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우울증 환자가 전세계의 15% 정도 있다고 한다. 약 4000만명 정도라고 한다. 미국 내의 우울증 관련 시장은 1년에 7~8% 정도 성장하고 있다고 한다. 

 

우울증은 코로나로 인해 환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리메드는 이 FDA 전자약 품목허가를 토대로 뇌졸중, 알츠하이머 적응증 확장에 주력할 것이라고 한다. 뇌졸중과 알츠하이머 시장이 더 안정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그런 거로 보인다.

 

TMS(신경질환 치료기기)를 우울증 외에 정신질환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게 성빈센트병원 가정의학과와 섭식장애 치료에 대한 연구 임상을 마치고 허가를 위한 임상 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임상 연구개발 과제의 주관 기업으로 선정되어 서울대병원 등과 함께 허혈성 뇌졸중 치료 임상을 진행하여 치료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고 현재 식약처 허가를 위한 재임상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핵심 연구개발 과제의 주관기업으로 선정되어 삼성서울병원 신경과와 함께 노인성 치매와 혈관성 치매에 대한 연구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에 선정, 중국 진출을 위해 방사형 초점형 융합 체외충격파 치료기기의 중국 허가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발기부전치료를 위해 현재 선형 체외충격파 치료기의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한다. 향후 비뇨기과 시장에서 요실금 및 전립선 치료를 위한 CSMS 치료기와 사업적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리메드의 신성장동력인 전자약은 기존 합성화합물을 비롯한 치료약물 대비 안전성이 높다는 것이 강점이라고 한다. 장기간 임상이 필요하지 않은 것도 장점이라고 한다.

 

리메드는 앨러간을 통해 판매하는 쿨톤 제품의 CE 인증을 올 6월에 획득하였다. 쿨톤은 리메드의 자기장 핵심 모듈이 내장된 코어근력강화 제품이고, 복부 및 엉덩이, 허벅지 근육을 강화하는 프리미엄 에스테틱 기기라고 한다.

 

이 앨러간과의 공급 계약으로 거대 기업과의 밸류 체인을 만들었다. 쿨톤은 ODM 방식으로 짐머에 납품한다. 짐머는 이 완제품을 앨러간을 통해 미국 및 유럽 등지에 판매하는 구조라고 한다.

 

10월 29일에는 중국 북부, 동부, 남부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고 한다. 계약 기간은 총 7년이다. 초기 2년 기간은 뇌질환치료기기인 TMS, 만성통증치료기기 NMS 등의 대표적인 미용 기기를 우선적으로 판다.

 

그 후로는 현재 추가로 등록을 추진 중인 제품들로 판매 라인을 확대할 것이라고 한다.

 

http://www.dailyinvest.kr/news/articleView.html?idxno=40914 

 

[코스닥 종목 분석] 리메드, 중국 진출 본격화로 주가 반등 성공할까 - 데일리인베스트

[데일리인베스트=박지원 기자] 올해 들어 부진한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는 리메드가 내년 중국 시장 진출 등으로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지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리메드는 전쟈약

www.dailyinvest.kr

그 동안 짐머에 쿨톤 제품을 납품했었으나, 체코의 경쟁사인 BTL이 쿨톤 특허침해 소송을 걸어서 작년 3분기부터 관련 제품 납품이 중단됐었다. 그러나 그 문제가 해결되고 얼마 전에 2000만 달러 수주가 있었기 때문에 실적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회사의 올해 실적은 그다지 좋지 못하다. 에스테틱에서 쿨톤 관련 제품의 매출액이 올해 3분기까지 5억원에 불과했다. 작년엔 30억원, 재작년에는 40억원이었는데 90% 감소했다.

 

게다가 회사 매출액이 100억원대이기 때문에 이 제품의 감소가 회사 실적에 영향을 주었을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일단 3분기까지의 매출액 자체는 작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에스테틱 부문이 영업이익률이 상당히 높았던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한편, 이 회사는 전에 300억원 어치의 전환사채를 발행하였다. 더 이상 발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기는 하겠지만, 300억원이면 적지 않은 금액이라서 이게 나중에 주가에 영향이 있을 수 있겠다.

728x90

설정

트랙백

댓글

728x90
SMALL

자율주행 자동차 간련 종목으로 분류되는 모트렉스가 3분기 회사 실적을 발표했다. 사실 꽤 전에 발표했다.

 

아무튼,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157억원, 영업이익은 89억원, 당기순이익은 49억원을 기록했다. 아직까지도 모로코에서 수주한 4479억원대의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관련 매출액은 나오지 않았다.

 

이런 상황대로 흘러간다면, 아마도 길지 않은 시간내에 수주 취소 공시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그런 리스크를 고려해야 하는 종목이다. 하지만, 올해 3개 분기 내내 흑자를 기록했다는 건 좋게 생각할 수 있다.

 

최근 애플 자율주행차 관련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상황으로 보인다.

728x90

설정

트랙백

댓글

728x90
SMALL

신일전자가 3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나름 서프라이즈다. 이 회사의 주요 사업이 선풍기 판매이기 때문에 주로 2분기에만 영업이익이 크게 나오고 그 외의 분기에는 적자거나 소폭 흑자가 나는 구조였는데

 

이번에는 그렇게 되지 않았다. 3분기 매출액은 612억원, 영업이익이 55억원, 당기순이익은 29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5배가 되었다.

 

그렇게 되지 않은 이유는 일단 선풍기의 호조가 영향이 있었던 거 같다.

올해 3분기까지 보면, 선풍기(상품) 매출액이 3분기까지 886억원이었다. 사실 4분기에 선풍기를 팔아봐야 얼마나 팔까 생각되기에 선풍기 매출액이 900억원을 넘을 수는 있겠지만 그렇게 크게 늘어나지는 않을 거 같다.

 

선풍기 분야의 호조에 이어서

동절기 가전 매출액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인 것도 겨울에 실적 악화를 막아주는 요인이 될 거 같다. 4분기에 동절기가전이 얼마나 매출액이 생기느냐에 따라 흑자도 가능할 듯하다.

 

신일전자의 신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펫(애완동물) 가전이나, 겨울가전(히터 등), 음식물처리기 등이 있다. 에코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 부피를 1/10로 줄여주는 제품이라고 한다.

 

겨울가전은 카페트 매트 등을 내놓았다고 한다.

728x90

설정

트랙백

댓글

728x90
SMALL

이수화학이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실적으로는 별로 주가가 안 오르더니 이번에 황화물 전고체 배터리 관련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렸다.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3분기 실적은 매출액이 1조 1908억원, 영업이익이 555억원, 당기순이익이 688억원이었다. 이렇게 보면 실적이 좋아보이지만 작년 4분기에 빅배스를 해서 순손실이 엄청 크게 났었다.

 

한편 개별재무제표 기준으로 보면

3분기 매출액 3457억원, 영업이익 283억원, 당기순이익 278억원이었다. 연결재무제표보다 개별 재무제표 기준의 실적이 더 좋다.

 

연결재무제표상으로 이수건설과 이수앱지스라는 적자덩어리 회사가 있어서 연결재무제표가 그렇게 좋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728x90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