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국내 첫 mRNA 백신 임상, 큐라티스 관련주
큐라티스는 사실 2일 전에 로이터 보도로 mRNA백신 관련주가 됐던 놈이다.
로이터에서 화이자랑 모더나의 mRNA 백신 10억회분을 국내에서 생산하는 방향으로 협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이미 큐라티스 관련주가 급등했었다.
이 보도를 국내에서 하면서 유력하게 언급된 생산 회사가 한미약품이랑 큐라티스였다. 언론에서 의도적으로 주가 띄울려고 한 거 아님? 이런 생각이 들 정도로 뜬금없이 회사명까지 언급하면서 관련주가 주가가 올랐으나
5일 당일 장 종료 후 보건당국에서 사실무근이라고 하면서 보건산업정책국장이 한국이 10억도스(1도스 = 1회분) 이상의 mRNA 백신 생산능력이 있다고 설명한 것이라고 했다. 보건당국이 대놓고 작전을 친다.
아무튼 이렇게 끝나는 줄 알았는데 한 언론에서 불을 지피면서 오늘 또 난리가 났다.
국내 첫 mRNA 백신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이 아이진이 아니라 큐라티스라면서 관련주가 급등했다.
식약처의 의약품안전나라에서 국내 5개 업체가 6개의 후보물질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임상을 승인받아 참여자를 모집 중이라고 한다.
뉴스에서는 큐라티스가 올해 초 임상 1상 IND를 내고 식약처의 자료 보완 요청을 거쳐 6월 하순에 임상 신청을 마무리 했다고 한다. 이번 달 안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알려졌다. 승인 시 국내 첫 mRNA 코로나19 백신이라고 한다.
큐라티스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인 QTP104는 항원을 생성할 수 있는 염기서열이 있는 mRNA를 지질나노입자 등의 전달체와 함께 주입하는 기존 백신과 다르게 자가 증폭할 수 있는 차세대 백신이라고 한다.
큐라티스는 현재 FDA에 1상 IND를 냈다고 하고, 인도에서 임상을 시작했다고 알려졌다. 임상 승인이 나면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관련주는 뭐 그렇게까지 밀접하게 관련이 있지는 않다.
대장주는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이라고 할 수 있겠다. KAI-열림헬스케어투자펀드가 큐라티스 지분 8.58%를 갖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이 가진 KAI-열림헬스케어투자펀드의 지분율이 0.32% 밖에 안된다.
굳이 깊이 따져보면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이 간접적 비율로 가진 지분율은 0.027% 정도 될 듯하다. 10만주 있으면 27주 들고 있는 수준이다.
뭐 그렇기는 한데 관련주 자체가 워낙에 없어서 얘가 대장인 것도 이해는 간다.
다음으로, 아즈텍WB는 지분을 정확히 얼마 갖고 있다는 얘기는 없다.
1분기 보고서 기준으로 이 회사가 출자금 및 비상장주식으로 21.5억원을 갖고 있는데 이게 큐라티스랑 부산패션칼라산업협동조합에 투자한 돈이라고 한다.
이거 갖고는 지분율이 얼마인지 알 수가 없다. 차라리 이 회사가 코리아에셋투자증권보다 큐라티스 지분이 많을 듯.
얘는 예전에는 무상교복 관련주였고, 한때 민주당의 김두관 관련주이기도 했다. 2012년에 경남도지사 때려치고 대선 경선에 나올 때 잠깐 올랐다.
또, 아주IB투자는 여기에도 낀다. 아주좋은벤처투자(아주IB투자가 지분율 15%를 갖고 있다)가 큐라티스 지분을 3.9% 갖고 있다.
간접적으로 따지면, 15% * 3.9%하면, 0.585%로 오히려 코리아에셋투자증권보다 많다. 하지만, 이미 다른 관련주로 인식되고 있고 시가총액도 많이 오른 상태라는 것이 현 상황이다.
'이슈 주식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젠 코로나 백신 관련주 (0) | 2021.07.09 |
---|---|
한국은행 CBDC 디지털 화폐 관련주 (0) | 2021.07.08 |
야놀자,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투자 관련주 (0) | 2021.07.07 |
코로나 확진자 증가 음압병실 관련주 (0) | 2021.07.07 |
델타변이 코로나 확진자 증가 재택근무 관련주 (0) | 2021.07.06 |